인천항, 전자상거래 허브항만으로 자리매김
등록일 | 2025.02.06. | 조회수 | 361 |
---|---|---|---|
첨부파일 |
○ 인천항만공사(www.icpa.or.kr, 사장 이경규)는 지난해 인천항 전략화물인 전자상거래 및 Sea&Air* 물동량 실적이 전국항만 중 최대인 약 6만 9천 톤을 달성했다고 6일 밝혔다.
* 해공복합운송(Sea&Air) : 해상운송과 항공운송을 연계해 일괄 운송하는 형태를 의미하며, 해운이 지닌 경제성과 항공의 신속성을 결합한 형태의 운송
○ 특히, 지난해 인천항 전자상거래 물동량은 2만 5,640톤을 기록하며 전국항만 기준 11년 연속 1위를 달성했다. 이는 2023년 대비 29.6% 증가한 수치로 중국발 해외직구 물동량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. 인천항은 남항 카페리 항로, 인천세관 해상 특송장 등 다양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어 전자상거래 특화항만으로서의 전략적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.
< 전국 주요 항만 전자상거래 물동량 현황 >
(단위: 톤 / 무역통계진흥원 전자상거래 수입·수출 기준, 풀필먼트 제외)
구분 | ’22년 | ’23년 | ’24년 | 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수출 | 수입 | 합계 | 수출 | 수입 | 합계 | 증감률 | 수출 | 수입 | 합계 | 증감률 | |
인천항 | 1,063 | 14,248 | 15,311 | 2,074 | 17,709 | 19,783 | 29.2% | 1,743 | 23,897 | 25,640 | 29.6% |
평택항 | 1,755 | 3,578 | 5,333 | 918 | 9,895 | 10,814 | 102.8% | 120 | 5,290 | 5,290 | △51.1% |
부산항 | 694 | 1,090 | 1,783 | 904 | 1,578 | 2,482 | 39.2% | 1,132 | 1,632 | 2,764 | 11.4% |
군산항 | - | 940 | 940 | 0 | 1,211 | 1,211 | 28.8% | 0 | 1,499 | 1,499 | 23.8% |
○ 이와 함께 지난해 Sea&Air 물동량 또한 역대 최대 실적인 4만 3,288톤을 기록하며 2023년 대비 15.5% 증가했다. 물류업계에 따르면, 신속성이 중요한 Sea&Air 화물은 예측 가능성이 가장 높은 인천항에 최우선 배치되고 있으며, 이를 통해 고객의 빠른 배송요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키고 있다.
< 전국 주요항만 Sea&Air 물동량 현황 >
(단위: 톤 / 무역통계진흥원 Sea&Air 환적화물 통계 기준 )
구분 | ’20년 | ’21년 | 증감률 | ’22년 | 증감률 | ’23년 | 증감률 | ’24년 | 증감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인천항 | 30,528 | 25,253 | △17.3% | 26,341 | 4.3% | 37,483 | 42.3% | 43,288 | 15.5% |
평택항 | 20,071 | 16,829 | △16.2% | 16,088 | △4.4% | 21,467 | 33.4% | 41,272 | 92.3% |
군산항 | 9,284 | 18,836 | 102.9% | 26,291 | 39.6% | 39,258 | 49.3% | 33,261 | △15.3% |
부산항 | 620 | 383 | △38.2% | 144 | △62.3% | 350 | 143.0% | 404 | 15.3% |
합계 | 60,503 | 61,301 | - | 68,864 | - | 98,558 | - | 118,225 | - |
○ 인천항만공사 김상기 운영부문 부사장은 “공급망 포화 현상으로 운송 루트 다각화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IPA는 인천국제공항과 인접한 인천항의 지리적 이점을 최대한 활용해 전자상거래 및 복합운송 화물을 적극적으로 유치할 계획”이라고 말했다.
고객님의 의견들입니다.
등록번호 | 구분 | 제목 | 작성자 | 등록일 | 공개여부 | 답변여부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등록된 게시물이 없습니다. |